LTO ‘25.2Q 결산

‘25.2Q LTO는 최종적으로 커버 기업 평균 수익률 57.64%, 벤치마크 대비 초과수익률 40.57%를 달성하였다.

인카금융서비스의 하드캐리 외에도 DASH, MDB가 고른 수익률을 보여주었고,
코스피 23.8%를 제외하면 모든 커버기업이 개별 벤치마크 지수들 대비 아웃퍼폼하는 성과를 보여주었다.

기업 내재가치 측면에서도 실적으로 지속적인 성장 추이를 증명해준 한 분기였으며,
MDB는 경영진이 제시하는 가이던스가 극단적으로 보수적인 수준이며, Voyage AI 인수를 통해 AI 시대에 가장 최적의 DBaaS 솔루션임을 입증했고,
DASH는 Deliveroo 인수를 통한 지역적 확장, 드론 배송 개시 등 향후 성장을 더욱 촉진하는 사업 방향성을 제시하여 성장 잠재력을 다시 재충전하는 분기가 되었다.

이들 기업이 앞으로도 시장을 뛰어넘는 성과를 보여줄 것이라 확신하며,
3분기에는 앞서 설명한대로 CRGO를 커버기업으로 신규 편입할 계획이다.

개인적으로도 상당한 투자 성과를 낼 수 있었고, 이런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춰준 사회와 동료 투자자, 그리고 내 주변 모두에게 감사하는 마음으로, 그리고 앞으로도 동료 투자자들이 같은 길을 걸어주길 바라고 권면하는 마음으로 분기 시상을 진행하려고 한다.

LTO 활동 현황

스터디원분들의 활동을 정량 지표(작성 글*5+작성댓글 = 활동 지수)로 산출했다.
(작성 글은 파일만 업로드한 글은 제외하고 카운트 했다)

멤버작성 글작성 댓글활동 지수시상
cuibOno34772471위(10만원)
푸린105554위(4만원)
키준28371772위(8만원)
MK3015
MS KWON1015653위(6만원)
포모도2010
찰떡꿀떡37225위(2만원)
seoultech3318
라다파파116
리부레116

이번 분기에도 함께 열심히 활동해주신 스터디원분들께 감사드린다.

LTO 투자 아이디어 시상

이번 분기에도 LTO 스터디원들께서 좋은 분석들을 많이 작성해주셨다.
사실상 1, 2등은 모두 괜찮은 성장주라 생각하는데 개인적으로는 LTO의 투자 조건에서 조금 더 성장 내러티브의 기대치가 높은 쪽을 1등으로 선정하게 된 것 같다.

1위(30만원) 토모큐브(MS KWON) : 동물 실험 의무 폐지 트렌드

https://cafe.naver.com/ltoptimization/554

BM의 이해

홀로토모그래피라는 첨단 현미경 및 SW 솔루션 판매 기업이다.
이 기술을 통해 세포, 조직 손상 없이 살아 있는 상태로 3D 고해상도 관찰이 가능하다.
토모큐브는 이를 바탕으로 AI 분석 솔루션, SW 구독형 전환 등 신사업 확장을 추진중이다.

이 기술은 오가노이드를 장기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비로 각광받고 있다.
오가노이드는 인체 장기 기능을 모사한 3차원 미니장기로, 최근 동물 실험을 대체할 핵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비 바이오 분야 검사 기술로도 진출을 추진중이다.

성장성

초기단계인 시장이 글로벌 제약사들의 도입 본격화로 폭발적인 성장을 맞을 것으로 기대된다.

22년 미국에서는 FDA Modernization Act 2.0 통과로 신약 승인시 동물 실험 요구 조항이 삭제되었고, FDA는 25년 앞으로 3~5년에 걸쳐 동물 실험을 예외적인 경우로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대체를 위해 동물 대신 인체 유래 모델을 활용하는 시대가 열리고 있으며,
가장 주목받는 대안이 오가노이드와 AI 예측모델이다.
그 가운데 토모큐브는 필수 장비 공급자로서 막대한 수혜가 예상된다.

실제 사례로, 글로벌 제약사 로슈(Roche)는 동물시험에서는 나타나지 않던 신약 후보물질의 독성을 인간화 오가노이드에 홀로토모그래피로 투과관찰하여 발견해냈다.
성공 사례가 업계에 알려지며 대형 제약사들이 앞다투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고 있다.
[동물실험 폐지 명암] 투심 쏠린 토모큐브, 빅파마가 주목하는 까닭① – 팜이데일리

머크(Merck)가 ’22년 말 네덜란드의 오가노이드 기업(HUB)을 인수하고,
로슈가 ’23년 IHB라는 오가노이드 연구소를 설립하는 등 빅파마들의 오가노이드 R&D 투자도 활발하다.

경제적 해자

토모큐브는 원천특허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스위스 나노라이브사도 유사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이 까다롭고 두꺼운 시료를 관찰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다.
토모큐브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원클릭으로 두꺼운 3D 시료 촬영이 가능해졌다.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형광 공초점 현미경이나 라이트시트 현미경, 디지털 홀로그래픽 현미경 분야 업체들이 있으나, 관찰 시간, 분석 범위 측면에서 토모큐브의 전방위적인 3D 분석 능력과는 차별화되고 있다.

특히 토모큐브는 NIH(美 국립보건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와 협력하여 오가노이드 분야 국제표준화를 선도하고 있어 향후 표준 채택시 잠김효과/네트워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징주]토모큐브, 세계최초 원천기술 국제표준 ‘코앞’…전세계가 주목한 5년 앞선 기술력

협상력

아직 수익성은 미미한 단계이나, ’26년 흑자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OPM, NPM 모두 -100%를 넘어가기 때문에 아직 수익성을 논하기는 이르지만,
GPM의 경우 꾸준히 개선되는 추이이기 때문에 매출 성장이 이어진다면 26년이라는 흑자전환 목표가 마냥 허황된 목표로 보여지지는 않는다.

자본배치

아직 적자 기업이기 때문에 배분할 현금을 충분히 창출하고 있지 못해 평가할 근거가 부족하다.

밸류에이션

성장 내러티브, 배후 신약 개발 시장 규모를 감안했을 때 충분한 투자 매력도가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된다.
미국의 Recursion Pharmaceuticals(Phenomic AI 신약개발 기업)은 전세계의 현미경 데이터를 활용해 AI 신약개발을 하는 회사로 시가총액이 3조원대에 이르는데, 토모큐브만이 제공할 수 있는 “비염색 살아있는 세포” 데이터는 Recursion조차 확보하지 못한 독점 자산이라는 분석이 있다.

2위(25만원) 넥스트바이오메디컬(포모도) : 검진 시장 확대와 내시경 지혈제

25.04 넥스트바이오메디컬: 글로벌 1등이 밀어주는 든든함 : 네이버 블로그
https://cafe.naver.com/ltoptimization/431

BM의 이해

내시경용 분말 지혈제를 만드는 기업으로, 기존 지혈 방식인 클리핑 대비하여 시술 난이도, 지혈 성능 측면에서 우월하다.

글로벌 의료기기 업체인 메드트로닉과 제휴하여 선진시장에 신속 진입하고 있으며, 중기 목표로 글로벌 지혈제 시장 점유율 15% 달성을 목표로 삼고 있다.

성장성

글로벌 시장 규모는 1조원, 출혈 예방 목적의 잠재시장까지 포함하면 4조원 규모이다.
선진국 중심 건강검진 및 용종 절제술 건수가 증가하여 성장성이 돋보인다.

최근 신규 적응증 매출 시기 지연, 일본 등 신규 시장 매출 가시화 시차 등으로 ‘25.1Q 성장률이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동사의 성장 내러티브를 과소평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내재가치 대비 저평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넥스파우더에 대해 미/캐/EU에서 1차치료제로 표준치료제 등재를 목표로 대규모 시판 후 임상을 진행중인데, 등재가 이뤄질 경우 침투율이 급격히 올라가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경제적 해자

넥스트바이오메디컬은 주요 핵심기술에 대한 특허를 통해 넥스파우더를 독점 생산중이다.
또한, 메드트로닉과 제휴를 통해 유통망을 확보하고 규모의 경제 효과를 누리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수 의사들의 치료법 적용을 바탕으로 잠김효과를 누리고 있다.

협상력

가격 측면에서는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메드트로닉과 수익 배분 계약을 체결하여 가격 협상력을 상당히 확보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판매량 측면에서는 출시 초기 급격한 판매량 확대가 진행중이다.

원가 측면에서는 넥스파우더가 고분자 소재 기반 원재료비 비중이 낮은 제품으로 비용 구조가 단순하며, 추가 CAPEX 없이도 당분간 생산 증대를 감당할 수 있다고 밝혀 고정비 증가 없이 상당 기간 동안 이익률 개선이 기대된다.

자본배치

동사는 설비투자, M&A 없이 주력사업과 R&D에 자본을 배치하여 수익성 확보를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핵심 기술을 통한 색전치료용 입자, 약물전달 플랫폼 등으로의 확장을 추구하고 있다.

밸류에이션

컨센서스상 ’25년 분기기준 흑자전환, ’26년 순이익 70억원이 기대된다.

현재 시총은 3,649억원으로 ’26E fPER 50 수준에서 거래가 되고 있는데,
향후 매출 확대에 따라 상당히 빠른 속도로 멀티플 정상화가 이뤄질 예정으로 보이는 바,
견고한 경제적 해자의 근거와 건강검진 및 내시경 진료 확대라는 견고한 성장 내러티브를 고려하면 결코 비싼 멀티플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3위(15만원) TOST(키준) : 견조한 미국 내수시장, 외식산업 성장

https://cafe.naver.com/ltoptimization/519

BM의 이해

식당 POS 시스템, 추가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UBS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내 POS 시스템 시장에서 결제 건수로 보았을 때 점유율은 Micros(Oracle) 30%, NCR Voyix(VYX) 16%, Toast(TOST) 16%, Clover(Fiserv) 8%, Square(Block) 8%, 기타 22%로 Toast는 3위 정도에 해당한다.

성장성

미국의 경우 외식 산업이 견조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최근 관세 정책 등으로 우려가 많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는 어느 경제권보다도 견조한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TOST의 경우 ARR, GPV, 매장 수는 견조하게 증가하나 ARPU는 정체되고 있다.
ARPU가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추가되고 있는 매장의 규모가 작은 것으로 유추해볼 수 있다.
비교적으로 영세한 업체의 경우에는 수익이 적기 때문에 구독을 계속해서 추가하기 어렵다.

현재로선 ARR과 GPV가 의미있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크게 문제가 된다고 생각하고 있지는 않으나 동사의 영업레버리지 효과 극대화를 위해서는 ARPU의 성장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

경제적 해자

수직통합을 바탕으로 한 솔루션 및 하드웨어 전환비용, 플랫폼 네트워크 효과 등이 해자의 근거가 된다.

협상력

연간 기준으로 한차례의 역성장 없이 GPM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과의 협상력이 유지 또는 높아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GPM 수준은 낮지만 이는 매출에서 수수료의 비중이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자본배치

식당 관리에 특화된 소프트웨어 기업을 인수하여 구독 서비스를 확대하는데 사업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19년 StratEx 인수, HR + 급여 모듈 확보, ’21년 xtraCHEF 인수, 백오피스 재무관리, ’22년 Delphi Display 인수, 드라이브스루 주문 디스플레이)

R&D는 매출 확대에 따라 매출 대비 비중은 감소하고 있다.

무차입기조, 자사주 매입 소각을 통해 주주가치도 제고하기 위해 노력중이다.

밸류에이션

TOST는 PSR 기준으로는 업계 평균보다 소폭 높은 수준이며 PER 기준으로는 고평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고성장을 위해 수익 추구를 포기한 성장주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투자를 위해서는 향후 2~3년간 매출 성장세가 유지되면서 운영 효율화 노력을 지속하여 PER이 정상 범위에 들어오는지를 파악하고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가치투자 커뮤니티를 성장시켜나가고 있습니다.
운영 계획방향성을 한 번 읽어보시고,
텔레그램유튜브 채널을 통해 소통하고 있으니 공감이 가신다면 참여해주세요!
쌍방향 소통을 원하는 분들은 카카오톡 채널로 와 주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자료실을 통해 리포트, 뉴스도 공유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